IT 서비스 기획
-
데이터 중심 스토리보드IT 서비스 기획 2024. 4. 27. 19:24
'데이터 중심 스토리보드'란?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정의'와 '데이터를 연산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따라서 소프트웨어의 디자인과 기능을 정의하는 스토리보드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작성하면,간결하고 명확하게 내용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이렇게 데이터를 중심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는 방식을 '데이터 중심 스토리보드'라고 이름을 붙여보았습니다. 구성 요소구성 요소설명[영역] 스토리보드소프트웨어의 '디자인'과 '기능'을 정의한 공간[영역] 디자인디자인 요소를 정의한 공간[영역] 디스크립션기능을 정의한 공간[영역] 데이터 정의'[영역] 스토리보드'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정의한 공간 [영역] 표시 형식'[영역] 스토리보드'에서 사용할 표시 형식들을 정의한 공간 읽는 방법화면별로 '[영역] 디자인' & '[영역] ..
-
[요약] PO 미신, 파랑새를 찾아서 - 우아한형제들 CPO 김용훈IT 서비스 기획 2023. 8. 8. 22:05
PO vs PM(Product Manager) vs 기획자 1. 기획자 요구사항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의하여 디자이너, 개발자에게 전달하는 역할 스토리보드 작성 2. PM 최소한의 자원으로 최대한의 임팩트를 내는 프로덕트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함 디자인, 개발 상세 내용을 모두 정의하지는 않음 UX, 기술, 비즈니스를 어느 하나를 깊게 정의하기보다, 셋을 모두 고려하여 제품의 목표/비전, 기능의 우선순위, 프로덕트 로드맵을 정함 3. PO 스크럼 방식으로 일할 때, 고객 입장을 전파하는 역할 프로덕트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고객 입장에서 필요한 것을 설득하고 우선순위, 백로그를 관리함 비즈니스 측면보다는 서비스 가치 측면만을 고려함
-
[요약] 우아한형제들 개발자가 생각하는 좋은 PM 나쁜 PMIT 서비스 기획 2023. 8. 6. 19:40
1. 동기유발자보통 프로젝트 시작 시 업무를 PM이 먼저 함 → 고민하고 시간 쓰면서 자연스럽게 나의 일이 됨산출물을 개발자에게 주면 개발자는 남이 시킨 일처럼 느껴짐 = 동기부여 저하됨왜 이 일을 해야하는지 집요하게 설명해주면, 개발자도 몰입하여 고민할 수 있게 됨(데이터, 고객 관점, 회사 가치의 관점 등)우리가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제시해주면 가장 좋음(개발자는 문제라는 얘기를 들으면 풀려고 하는 본능이 있음 + 문제 풀어서 인정받고 싶어함→ 개발자를 움직이는 마법의 단어 "고민이 있어요")피드백 창구를 잘 열어놔서, 기획서 리뷰/설명하는데 굳이 피드백을 해야할 것 같은 느낌을 만들어주면 좋음(기획에 참여하여 의견 내고 개선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줌 → 개발자도 나의 일이라고 느끼게..
-
토스 PO 세션 7화 요약 정리: Q&A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20:22
토스 리더가 직접 답해드립니다: Q&A 1. Carrying Capacity는 현실에 적용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답변 Viral Growth를 이용한 사용자 수 변화에 대하여, Viral K가 존재하는 경우 Inflow가 C.C.에 영향을 주는 현상(+ 네트워크 효과)이 발생함 의미 있는 Virality에 기여하는 유저는 가입한지 일주일 이내의 유저임 따라서 MAU(기존 사용자 수)가 적어도 신규 사용자 수가 많으면 Virality는 높을 수 있음 통상 서비스가 커진다고 Virality가 올라가지는 않음 즉, 신규 사용자 수는 기존 사용자 수에 비례하지 않음 (신규 사용자 수는 보통 일주일 이내의 신규 사용자 수에 비례함) 2. Carrying Capacity 이의 있어요 블로그 답변 시장의 크기가 작으..
-
토스 PO 세션 6화 요약 정리: Winning Strategy - 살고자 하는 자는 죽고, 죽고자 하는 자는 살 것이다.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8:07
토스는 이렇게 시작했습니다: Winning Strategy - 살고자 하는 자는 죽고, 죽고자 하는 자는 살 것이다. 첫 번째 창업(2012년): Ulabla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증가에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 사람들을 위한 소셜 미디어 오프라인으로 만난 사람과 초음파 통신으로 인증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도록 함 런칭 후 몇 달이 지나도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음 → 디자인이 문제라고 생각해서, 디자인을 유려하게 개선함 → 다른 사람들이 따라할까봐 1년에 걸쳐 특허 등록 → 홍보를 위해 창업경진대회에도 나감 → 사진 필터 기능이 필요할까 싶어서, 6개월에 걸쳐 필터 기능을 추가해봄 → 바이럴 기능을 추가해봄: 게시물 올리면 Facebook, Instagram에도 게시물이 자동으로 올라가도록 (창업 후 1~1.5..
-
토스 PO 세션 5화 요약 정리: 바이럴 성장을 만드는 법 & Carrying Capacity 꿀팁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6:48
토스 리더가 말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법: 바이럴 성장을 만드는 법 & Carrying Capacity 꿀팁 바이럴 성장을 만드는 법(Designing Viral Growth) Virality = Payload x Frequency x Conversion Rate Payload: 바이럴 루프를 한 바퀴 돌 때, 메시지가 도달하는 사람 수 Frequency: 바이럴 루프 한 바퀴 돌 때, 사람당 메시지를 받는 수 Conversion Rate: 바이럴 메시지를 한 번 봤을 때 신규 유저로 전환되는 비율 많은 경우, 3가지 요소 중 1~2가지에 집중해서 효과를 봄 예시) Hotmail: 무료 이메일 제공하는 대신 마지막에 "이 메일을 Hotmail로 보냈습니다." 문구를 붙임 Facebook: 가입 시..
-
토스 PO 세션 4화 요약 정리: Viral Growth & Network Effect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3:29
토스 리더가 말하는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 Viral Growth & Network Effect Inflow 분류 1. Organic : Carrying Capacity에 영향을 주는 Inflow 1-1. New(세상으로부터 최초로 발견되는 퍼널, 자연적인 상황에서 대부분은 Referral) - Referral: 측정 가능한 기존 유저의 초대 1-2. Resurrection(이탈/회의적이었다가 다시 유입한 유저) 2. Non-Organic : C.C.에 영향을 주지 않는 Inflow 2-1. Paid 2-2. Viral(통상 Organic에 포함하지만, 별도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이번엔 구분해봄) Viral Growth · 의미: Referral을 강화하는 것 · Viral Growth 구조가 장착..
-
토스 PO 세션 3화 요약 정리: Activation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2:35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Activation P/M Fit을 찾았다면, Retention 개선과 함께 Activation 개선을 해야 함 Activation = 고객이 겪는 첫 번째 행복한 경험(The first happy experience) = 서비스가 제공하는 핵심가치(Aha Moment 액션 X)를 느끼기까지의 경험 Activation 개선 = 더 많은 유저가 더 빨리 손쉽게 액션 X를 하게끔 만드는 것 Activation 개선 시 중요한 것은, 컨버전(전환율)이 아닌 기간 · 얼마만에 다음 퍼널로 넘어갔는지 · 예시) 계좌등록 비율 35%이라 개선 필요? 알고보니, 한 세션 안에서의 비율이었음. 한달 안에 계좌등록 65%라서 개선 필요 없다고 결론냄 A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