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토스 PO 세션 4화 요약 정리: Viral Growth & Network Effect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3:29
토스 리더가 말하는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 Viral Growth & Network Effect Inflow 분류 1. Organic : Carrying Capacity에 영향을 주는 Inflow 1-1. New(세상으로부터 최초로 발견되는 퍼널, 자연적인 상황에서 대부분은 Referral) - Referral: 측정 가능한 기존 유저의 초대 1-2. Resurrection(이탈/회의적이었다가 다시 유입한 유저) 2. Non-Organic : C.C.에 영향을 주지 않는 Inflow 2-1. Paid 2-2. Viral(통상 Organic에 포함하지만, 별도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이번엔 구분해봄) Viral Growth · 의미: Referral을 강화하는 것 · Viral Growth 구조가 장착..
-
토스 PO 세션 3화 요약 정리: Activation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2:35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Activation P/M Fit을 찾았다면, Retention 개선과 함께 Activation 개선을 해야 함 Activation = 고객이 겪는 첫 번째 행복한 경험(The first happy experience) = 서비스가 제공하는 핵심가치(Aha Moment 액션 X)를 느끼기까지의 경험 Activation 개선 = 더 많은 유저가 더 빨리 손쉽게 액션 X를 하게끔 만드는 것 Activation 개선 시 중요한 것은, 컨버전(전환율)이 아닌 기간 · 얼마만에 다음 퍼널로 넘어갔는지 · 예시) 계좌등록 비율 35%이라 개선 필요? 알고보니, 한 세션 안에서의 비율이었음. 한달 안에 계좌등록 65%라서 개선 필요 없다고 결론냄 Activation..
-
토스 PO 세션 2화 요약 정리: Retention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2:08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떠나지 않게 만드는 단 하나의 개념: Retention P/M F(Product-Market Fit)를 찾은 뒤 무엇을 해야하는가? = Retention Curve 분석 P/M F를 찾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 : Retention Plateau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Retention 기울기가 평평해지는 현상) (경험상, 월 단위로 봤을 때 3~6개월 정도에 생긴다고 함. 4화 참조) Startup이란, 제품-시장-고객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사업 확실성이 커지면 경영의 단계로 넘어감 불확실성을 확실성으로 옮겨가는 과정이 Lean Startup Retention Plateau가 생겼다는 것의 의미는, 제품 & 고객을 찾았다는 것임 이제 Retention Curve를 분석 ..
-
토스 PO 세션 1화 요약 정리: Carrying CapacityIT 서비스 기획 2022. 11. 19. 12:06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Carrying Capacity · 서비스의 월간활성사용자수(MAU)가 수렴하는 수치가 정해져 있음 이 수치를 Carrying Capacity라고 부름 광고 등으로 사용자 수를 늘려도 결국 이 평형점으로 수렴함 · Carrying Capacity를 결정하는 요인은 단 2가지 : Inflow(신규 사용자 수) & Churn(기존 활성사용자 대비 이탈률) 경험 상, Carrying Capacity는 상수임 · 계산 방법: (C.C.) = (Inflow) / (Churn) · Inflow는 서비스 런칭 후 일주일이면 알 수 있음. Churn은 1~2개월이면 알 수 있음 · 활용 예시) 현재 MAU가 70만 명이고 Carrying Capacity가 75만 명이라면,..
-
Heroku 배포 중 H10(App crashed) 에러프로그래밍/FastAPI 2022. 2. 6. 17:38
파이썬 서버에 Heroku Postgres를 연결하는 코드를 추가하여 헤로쿠에 배포하던 중 아래와 같은 H10 에러를 만났습니다. heroku[router]: at=error code=H10 desc="App crashed" method=GET path="/" host=high-order-official-wealth.herokuapp.com request_id=3f4cf04d-0961-4b86-a1e1-1356669c0d2d fwd="110.35.39.190" dyno= connect= service= status=503 bytes= protocol=https 검색해보니 범용 에러인 것 같아서 해결 방법이 오리무중이었습니다.. postgresql 관련 코드를 추가하면서 'psycopg2' 드라이버를 새로..
-
Heroku Postgres를 TablePlus에 연결하는 방법프로그래밍/FastAPI 2022. 2. 6. 17:31
① TablePlus를 실행하고, 'Create a new connection...'을 클릭합니다. ② 'PostgreSQL...'을 선택합니다. 3-1) Heroku 웹사이트에서 앱 화면에 접속하여 'Resources > Add-ons > Heroku Postgres'를 선택합니다. 3-2) Heroku Postgres 대시보드에서 'Settings > AMINISTRATION > View Credentials'를 클릭합니다. 3-3) TablePlus에 Heroku Postgres 대시보드에서 확인한 Credentials(Host, Port, User, Password, Database)를 입력합니다.
-
SQLAlchemy로 Heroku PostgreSQL 사용하기프로그래밍/FastAPI 2022. 2. 6. 17:12
SQLAlchemy로 Heroku PostgrSQL에 접근하는 코드를 작성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났습니다. sqlalchemy.exc.NoSuchModuleError: Can't load plugin: sqlalchemy.dialects:postgres 검색해보니, SQLAlchemy에 PostgreSQL을 연결할 때 URI 스키마로 예전에는 "postgres://"와 "postgresql://"을 모두 지원했는데, 이제는 1.4.x 버전 이상부터는 "postgresql://"만 지원한다고 합니다. 헤로쿠에서 PostgreSQL을 만들면 스키마가 "postgres://"로 생성되는데 코드에서 DB에 연결할 때 그냥 스키마만 "postgresql://"로 바꾸면 된다고 합니다. 스키마를 바꿔서 실행해..
-
파이썬 서버에서 PostgreSQL DB 사용하기프로그래밍/FastAPI 2022. 2. 6. 17:00
파이썬 서버를 Heroku에 배포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Heroku에서는 PostgreSQL을 무료로 지원해주고 있어서 RDB로 PostgrSQL을 사용해보았습니다. 'SQLAlchemy'를 이용하여 ORM으로 DB에 접근하는 코드를 작성했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났습니다.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psycopg2' 알고 보니, 파이썬에서 PostgreSQL을 사용하기 위해 'PostgreSQL 드라이버'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검색해보니 'psycopg2'라는 드라이버를 많이들 사용하는 것 같아서 이를 설치했습니다. pip install psycopg2 psycopg2를 설치하니 잘 실행이 되었습니다.